카테고리 없음

고성국 : 대형 보수 유튜버. 그에 대해 알아보자.

sdfdfs3f 2024. 12. 12. 20:41
반응형
고성국은 1958년 3월 21일, 경상북도 대구시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언론인, 정치평론가, 극우 성향을 지닌 유튜버이다.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 과정을 마친 뒤, 대학원에서 깊이 있는 학문적 배경을 쌓았다. 그는 또한 대한민국 육군에서 병장으로 복무하며, 카투사로 전역했다.
반응형

고성국은 학문적 경력을 바탕으로 여러 대학에서 강의했다. 단국대학교 전임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와 경희대학교에서 강사로 활동하면서 정치외교학 분야에서 폭넓은 연구와 교육을 이어갔다. 그는 특히 정치와 외교에 대한 깊은 이해와 통찰을 바탕으로 다양한 논의에 참여해 왔다.

 

현재 그는 '고성국TV'라는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며, 정치와 사회 이슈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그의 유튜브 채널은 약 110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하며, 다양한 정치적 견해와 논란을 다루는 콘텐츠로 유명하다. 고성국은 개인적인 방송 외에도 활발한 사회적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배우자 홍옥연과 함께 가정을 꾸리고 있다.

고성국은 1958년 3월 21일 대구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언론인, 정치평론가, 그리고 극우 성향의 유튜버로 잘 알려져 있다. 그의 정치적 여정은 1980년대의 좌익 운동에서 출발해, 201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는 강경한 보수주의자로 완전히 변화한 인물이다. 고성국의 학문적 배경은 정치외교학에 뿌리를 두고 있다.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 입학, 이후 석사와 박사 과정을 마친 그는 1986년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비교적 진보적 정치 관점을 내세우며 여러 포럼과 학술 활동에 참여했다. 그 당시 고성국은 민주화 이후의 정치적 지형 변화와 진보 진영의 선거 전략에 대해 깊은 관심을 보였으며, 1990년대 초까지도 진보적 성향을 유지했다. 그러나 2010년대 들어 급격히 보수로 성향을 바꾸면서, 현재는 강성 친박 및 친윤 성향의 극우 유튜버로 활동하고 있다.

고성국의 정치적 변화는 그의 경력에서도 중요한 변곡점을 이루며, 그가 방송과 미디어에 등장할 때마다 큰 논란을 일으켰다. 1980년대 중반, 그는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강사로 재직 중이었으며, 당시 좌익 서적을 밀반입하는 등 운동권 활동을 하다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구속되기도 했다. 1988년 사면된 후, 그는 진보 진영의 정치 포럼에 참여하며 비교적 꾸준히 활동을 이어갔으나, 2012년부터 정치 성향을 급격히 바꾸기 시작했다. 특히 2012년 총선과 대선을 전후로 그는 강한 보수 성향을 드러내며, 당시 친박계와의 연결을 강화하기 시작했다. 고성국은 19대 총선과 21대 총선에서 보수 정당의 승리를 예측하며, 점차 보수 논객으로 자리매김했다. 2010년대 중반 이후에는 박근혜 정부와의 친밀한 관계를 바탕으로 보수 언론에 자주 출연했으며, 특히 종합편성채널인 TV조선에서 객원 해설위원으로 활동하며 그 입지를 확고히 했다.

고성국은 유튜브 채널인 '고성국TV'를 운영하며 강성 보수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 채널은 정치적 성향이 명확히 드러나는 콘텐츠로, 보수 성향의 정치인들과 인터뷰하거나, 특정 이슈에 대해 강력한 발언을 내놓는 등 정치적 입장을 여과 없이 표출하고 있다. 특히 '고성국 칼럼'과 같은 코너를 통해 그는 친박 및 친윤 성향을 강하게 드러내며, 그동안의 정치적 입장을 확고히 했다. 또한, 고성국은 TV조선과 같은 보수 언론에서 자주 출연하며, 정치적 발언과 시사 논평을 이어가고 있다. 그의 유튜브 채널은 수많은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만큼 논란도 끊이지 않고 있다. 고성국은 2024년 1월에 유튜브 구독자 수 100만 명을 달성했으며, 이는 그의 정치적 입장과 발언이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가 펼치는 정치적 메시지는 극우 성향을 지지하는 이들에게는 큰 지지를 얻고 있지만, 반대편에서는 강한 비판을 받고 있다. 고성국의 정치적 입장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더 보수화되어 왔으며, 이는 그가 내세우는 정치적 논리와 방향성이 갈수록 명확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