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동운은 1969년 8월 15일 경상남도 산청군 생초면 계남리 하둔마을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법조인으로, 현재 제2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장으로 재임 중이다. 본관은 함양 오씨로, 가족으로는 형 오동호가 있다. 그는 낙동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서울대학교 인문대학에서 독어독문학을 전공하며 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이어서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 석사 과정을 마친 뒤, 곤자가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 박사 과정을 이수했다. 종교는 개신교 복음교단에 속하며, 병역은 전시근로역(버거씨병)으로 복무했다.
오동운은 제37회 사법시험에 합격한 후, 제27기 사법연수원을 수료하며 법조인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그는 부산지방법원, 울산지방법원, 인천지방법원, 서울남부지방법원, 서울중앙지방법원, 서울고등법원 등에서 판사로 재직하며 다양한 법원에서 경험을 쌓았다. 또한 헌법재판소 헌법연구관으로서의 역할을 맡기도 했으며, 서울서부지방법원 판사, 울산지방법원 부장판사로도 활동했다. 그 후 울산동구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과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 부장판사 등을 역임하며 법률 실무에 대한 깊은 지식을 쌓았다.
그는 법무법인 금성에서 변호사로 활동하며 법률 분야의 전문성을 더욱 키운 후, 울산대학교 법학과 겸임교수로 재직하며 후학을 양성했다. 2024년 5월 21일, 윤석열 정부 하에 제2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장으로 임명되며 정치적,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되었다. 오동운은 그의 법적 경력과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서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공정하고 정확한 법적 판단을 내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오동운, 대한민국의 판사 출신 고위 공직자, 제2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장, 그의 생애와 경력은 대한민국 법조계와 정치의 복잡한 교차점을 잘 보여준다. 1969년 8월 15일, 경상남도 산청군 생초면 계남리 하둔마을에서 태어난 오동운은 3남 2녀 중 셋째로 태어났다. 부산광역시의 낙동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서울대학교 인문대학에서 독어독문학을 전공하며 학사 학위를 취득한 그는 이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 석사 과정을 마친 뒤, 미국 곤자가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러한 학문적 배경과 함께 오동운은 1995년 제37회 사법시험에 합격하고, 1998년 제27기 사법연수원 수료 후 본격적인 법조인의 길을 걸었다.
그의 경력은 다양한 법원에서의 근무로 이어졌다. 부산지방법원과 울산지방법원에서 시작한 오동운은 인천지방법원, 서울남부지방법원, 서울중앙지방법원 등 수도권의 주요 법원에서 여러 중요한 재판을 담당하며 실력을 쌓았다. 2010년에는 서울고등법원 배석판사로 발령받은 후 헌법재판소에 파견되어 헌법연구관으로 활동하며 헌법재판 보조 역할을 맡았다. 이때 헌법연구관으로서의 경험은 그를 더욱 더 법적 사고와 분석의 전문가로 성장시켰다. 2013년부터 2017년까지는 국제인권법연구회 회원으로도 활동하면서 국제적인 법적 이슈에 대한 관심을 이어갔다. 그러나 2017년에는 법원에서의 경력을 마친 후 변호사로 개업하게 되며, 국제법 전공으로 법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법무법인 금성에서 활동을 이어갔다. 또한 2018년, 성범죄 사건에서 변호인을 맡기도 했으며, 그 사건에서 피해자 동의를 주장하는 방어 논리가 제기되어 논란을 일으켰다.
2024년, 윤석열 대통령은 오동운을 제2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장 후보로 지명했다. 당시 대통령실과 여권은 김태규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을 공수처장 후보로 지명하려 했으나, 야권과 법원행정처의 반대에 부딪혀 결국 오동운을 최종 후보로 선택하게 되었다. 2024년 5월 21일, 국회의 인사청문회를 거쳐 오동운은 제2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장에 임명되었으며, 그는 공수처장으로서 중요한 직책을 맡게 되었다. 그러나 그의 임명 과정에서 민정수석실은 그를 부적격 판정한 검증안을 윤석열 대통령에게 제출했지만, 대통령은 이를 무시하고 오동운을 최종 후보로 선택했다. 이후 공수처장으로서 오동운은 윤석열 대통령 내란 혐의 수사 등 중요한 사건을 맡았으며, 그 과정에서 수사 권한을 두고 경찰과 국방부 조사본부와 협력하며 수사에 나섰다. 하지만 일부 정치적 논란과 함께, 오동운은 수사 의지와 관련된 비판을 받기도 했으며, 이후 체포영장 집행 등의 과정에서 논란을 겪기도 했다.
그러나 오동운은 그동안 여러 정치적 논란과 사건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공정한 법적 판단을 내리기 위해 노력해왔다. 2024년 윤석열 정부 내란 수사 과정에서 보였던 태도는 그가 법적 원칙과 직무를 엄수하는 자세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오동운의 정치적 중립 의무 위반 논란이나 가족 채용, 증여세 논란 등이 불거지기도 했다. 특히 법무법인 금성에서 아내와 딸을 둘러싼 논란은 그의 도덕성과 정치적 신뢰성에 타격을 입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이러한 논란을 해명하며 정치적 비판을 받아들이고, 공수처장으로서의 직무를 수행하고 있다. 2025년 3월, 공수처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수사와 관련된 법적 난제에 직면했으며, 법조계에서는 이 사건이 향후 대한민국 정치 및 법적 구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